처음처럼

 

파킹통장이라는 개념이 많이 알려진게... 제가 알기로는 토스뱅크가 연2% 금리를 제공한다고 한 다음부터인 것 같습니다. 

 

그 이후 한동안 토스뱅크를 따라갈만한 통장이 없었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최근에는 오히려 토스뱅크보다 더 좋은 혜택의 통장들이 많이 생겨나는 것 같습니다 

 

파킹통장을 잘 정리한 영상이 있어서 소개해봅니다. (2022년 8월 15일 기준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3mdhiOQPSM 

위의 표가 위의 영상을 잘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웰컴저축은행과 하나저축은행이 가장 금리가 높긴 한데.. 우대금리 적용조건이 있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KDB산업은행과 우리종합금융은 1일 이체한도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의 우대조건입니다.

 

다음은 KDB산업은행 이체한도제한 푸는 방법입니다.

 

하나저축은행 우대금리 조건에 관한 내용입니다. 

 

그 외에 파킹 통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장으로 CMA 통장이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가입하는 CMA는 RP형입니다.  저도 그동안 RP형 CMA를 이용하고 있었구요.. 

 

그런데, 최근 금리가 오르면서 발행어음형 CMA의 이율이 RP형보다 높게 되었습니다. 

발행어음형은 증권사 자체의 신용을 담보로 고객에게 돈을 빌리는 형태라서 증권사가 망하면 원금보장이 되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우량한 위의 4개 증권사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제 생각엔, 위 4개 증권사가 망할 염려는 거의 없으니까 별 부담없이 가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두 미래에셋에 RP형 CMA를 발행어음형으로 변경했습니다. 

위의 은행에서 CMA보다 이율이 높은 건 많이 있지만, 대신 여러가지 제약 조건이 많은 경우가 많은데....  CMA는 그런 조건이 없으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발행어음형 CMA에 위와 같이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상품도 있지만, 정기예금과 같이 일정기간 맡기고 고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위의 한국투자증권은 1년 에치시 4.5% 줍니다. 

 

제가 다른 영상으로 듣기로는 다른 증권사도 일정기간 예치하면 4.15%를 준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중간에 인출을 하더라도 1.95%는 준다는 내용을 들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재테크 관련] - 재테크 목차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